이성이란 감성의 바다 위에 떠있는 초라한 돛단배이다 << D-60, 국민을 감동시키는 대선으로>>/문화 일보 10월 20일자에서 인용 12월19일 제17대 대통령 선거일까지 꼭 60일 남았다. 그러나 역대 어느 대통령 선거보다도 이번 대통령 선거는 혼란스러운 양상이다. 강력한 야당 대통령 후보에 맞설 범여권 후보는 아직도 오리무중이다. 지금쯤 대통령 후보.. 역사·정치·경제·사회 2007.11.14
협상의 정석과 최고의 협상 협상이란 상대가 가치있다고 생각한 무언가를 포기할 준비가 되어 있어야만 성공할 수 있다. 최고의 협상이란 상대와 신뢰도 쌓으면서 서로에게 이익이 되는 최선의 방법을 찾는 것이다." 이회창 전 한나라당 대통령 후보의 대선 3번째 출마로 심심하던 17대 대선이 아주 재밌고 흥미 진진한 게임으로 .. 역사·정치·경제·사회 2007.11.08
2007년 대선과 한국의 미래 한국 사회는 2007년 대통령 선거를 기점으로 새로운 사회적 철학과 경제 패러다임의 출발점이 될 것이다. 흔히 말하는 메가트랜드로의 변화는 이미 사회 곳곳에서 시작되었지만 변화에 둔감하고 과거에 머물기를 좋아하는 우리 한국인 특성상 아직 깨닫지 못하고 있다고 보여진다. 대략적으로 한국 사.. 역사·정치·경제·사회 2007.10.22
놈현스럽다: 기대를 저버리고 실망을 주는 데가 있다. 현대사의 질곡을 넘어서 대한민국은 내용과 형식 면에서 지속적인 발전을 하고 있다. 노무현이 참여 정부는 국민의 정부의 기본 구조와 철학을 계승하여 민주 정부 2기의 역할을 외형적으로는 절반의 성공을 이루었다. 하지만 많은 부분에서 분열과 갈등으로 국민의 생활을 몰아갔고 국민에게서 존경.. 역사·정치·경제·사회 2007.10.17
평화의 길, 미래의 길, 그리고 혁신 경제 2000년 6월 역사적인 남북 정상 회담이 개최 되던 날 나는 미국 샌프란시스코 옆 UC 버클리 지역에서 대만 학생과 같이 방 안에서 TV를 통해서 감격적인 역사적 순간을 가슴으로 찡하는 울림과 더불어 온 몸으로 전율했다. 우연히도 이번 2007년 남 북 정상 회담도 한국이 아닌 독일 뒤세도르프의 한 호텔.. 역사·정치·경제·사회 2007.10.08
若無湖南是無國家(약무호남시무국가) ['무호남 무국가'의 진실] "호남땅마저 함락되면 조선은 망한다" 충무공, 임진왜란 때 지인에게 '약무호남 시무국가' 편지 …왜군과 결사항전 의지 다져 개전 20일만에 한양 함락, 두달 만에 평양까지 빼앗겨…진지 옮기고 호남방어에 총력 김대중 전 대통령이 지난 10월 29일 전남 도청을 방.. 역사·정치·경제·사회 2007.09.28
강금실과 엘리트 그리고 한국 시스템의 고정관념 2006년 타임지가 올해인물로 선정한 '당신(YOU)' 이 표지로 선정되었었다. 인터넷 미디어를 장악한 인물은 프로페셔날 한 전문가나 교수나 박사가 아닌 바로 ´YOU´로 대표되는 평범한 우리들의 삶과 감성과 경험 정보 지식들이 쉽게 인터넷 매체에 접속하여 다른 네티즌들에게 전달하고 또한 누구나(´.. 역사·정치·경제·사회 2007.09.27
악어의 눈물 우리는 요즘엔 너무 흔하게 흘리는 눈물을 보고 있다. 거짓과 부정을 감추려고 흘리는 눈물은 진정한 반성과 우리에게 감동을 주지 못하는 악어의 눈물이다. 너무나 진솔하게 '비틀즈의 이메진' 노래와 더불어 다가왔던 노무현의 눈물도 미처 그 눈물의 감동이 마르기도 전에 냉혹한 악어의 이빨로 우.. 역사·정치·경제·사회 2007.09.07
IBM 한국 보고서 한국은 첨예한 갈등과 우려 속에서 한-미 FTA을 체결함으로써 바야흐로 전면적인 시장개방을 목전에 두고 있다. 한-미 FTA는 경쟁촉진을 위한 외부적 지렛대(External Leverage)의 역할과 국내 기업규제 개선, 동아시아 경제소통의 네트워크 구축 등 매우 유용한 성장가치를 조성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역사·정치·경제·사회 2007.08.20
한국 정치시스템의 구조조정 우리는 지나치게 많은 권력과 부를 정치 집단 및 정치인들에게 부여해 놓고 그들의 오만과 폐해를 애써 개인적 비난으로 회피하려고 한다. 우리는 이러한 정치 시스템의 구조조정이 필요하다. 첫번째는 이원 집정부 형태의 대통령과 의원내각제로의 변경이다. 더불어 4년 연임제로의 개헌도 물론 이.. 역사·정치·경제·사회 2007.07.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