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ports Column

프로야구 데이터 분석 지표<머니볼부터 최신 MLB 분석 방법>

youngsports 2025. 3. 21. 09:38

 

 

프로야구에서 사용되는 주요 데이터 분석 지표들을 타격, 투수, 수비 지표로 나누어 설명드리겠습니다.

1. 타격 지표

  • 타율 (Batting Average, BA)
    • 타율은 선수의 타격 성과를 평가하는 지표로, 타수가 얼마나 많은 안타로 이어졌는지를 나타냅니다.
    • 계산법: 타율 = 안타수 / 타석
    • 예시: 타율이 0.300이라면, 10번의 타석에서 3번 안타를 친다는 의미입니다.
  • 출루율 (On-Base Percentage, OBP)
    • 출루율은 선수가 타석에 들어설 때 출루할 확률을 나타냅니다. 타율과 달리 볼넷, 고의 볼넷, 몸에 맞는 공도 포함됩니다.
    • 계산법: OBP = (안타 + 볼넷 + 몸에 맞는 공) / (타석 - 삼진)
    • 출루율이 높을수록 타자가 효율적으로 출루하고 있다는 의미입니다.
  • 장타율 (Slugging Percentage, SLG)
    • 장타율은 선수의 타격력, 즉 얼마나 많은 장타를 기록했는지를 나타냅니다. 홈런, 2루타, 3루타 등 다양한 장타를 반영합니다.
    • 계산법: SLG = (1루타 + 2 * 2루타 + 3 * 3루타 + 4 * 홈런) / 타수
  • 온베이스플러스슬러기닝 (OPS)
    • 출루율(OBP)과 장타율(SLG)을 합산한 지표로, 타자의 종합적인 공격력을 나타냅니다.
    • 계산법: OPS = OBP + SLG
    • OPS가 1.000 이상일 경우, 이는 뛰어난 타격 성과를 의미합니다.
  • 타점 (RBI, Runs Batted In)
    • 타자는 주자가 홈으로 돌아오는 타격을 통해 점수를 만듭니다. 타점은 이와 같은 점수를 생산한 횟수를 측정합니다.

2. 투수 지표

  • 평균자책점 (Earned Run Average, ERA)
    • ERA는 투수가 경기에서 한 이닝 당 평균적으로 허용한 자책점을 측정하는 지표입니다.
    • 계산법: ERA = (자책점 * 9) / 투구 이닝
    • ERA가 낮을수록 투수가 효율적으로 경기를 이끌고 있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 피안타율 (Batting Average Against, BAA)
    • 피안타율은 투수가 상대 타자에게 얼마나 자주 안타를 허용하는지를 측정합니다.
    • 계산법: BAA = (피안타 / 피투구 타석)
    • 낮을수록 투수가 상대 타자들을 잘 막고 있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 삼진 (Strikeouts, K)
    • 투수가 타자를 삼진으로 처리한 횟수를 의미합니다. 높은 삼진 비율은 투수가 타자를 압도하는 능력이 있다는 것을 나타냅니다.
  • 볼넷 (Walks, BB)
    • 볼넷은 투수가 타자에게 4개의 볼을 던져서 얻은 자유롭게 출루한 횟수를 의미합니다. 볼넷이 적을수록 제구력이 좋다고 평가됩니다.
  • WHIP (Walks + Hits per Inning Pitched)
    • WHIP는 투수가 한 이닝당 허용한 출루를 측정하는 지표로, 낮을수록 더 효율적인 투수를 의미합니다.
    • 계산법: WHIP = (볼넷 + 피안타) / 투구 이닝
  • 완투 (Complete Games, CG)
    • 투수가 경기에서 9이닝을 모두 투구한 경우입니다. 이는 투수의 체력과 지구력, 경기 운영 능력을 보여주는 지표입니다.

3. 수비 지표

  • 필딩율 (Fielding Percentage, FPCT)
    • 필딩율은 선수의 수비 실수를 방지하는 능력을 나타내며, 얼마나 정확하게 공을 처리했는지를 측정합니다.
    • 계산법: FPCT = (총 처리한 기회 - 실책) / 총 처리한 기회
    • 수비수가 많은 기회를 처리할수록 필딩율이 높아집니다.
  • 조정된 수비 (Defensive Runs Saved, DRS)
    • DRS는 선수가 수비에서 얼마나 뛰어난지를 나타내며, 타구의 위치를 기준으로 해당 선수가 상대적으로 얼마나 많은 득점을 막았는지를 측정합니다.
    • 숫자가 높을수록 좋은 수비수를 의미합니다.
  • Ultimate Zone Rating (UZR)
    • UZR은 선수가 각 수비구역에서 얼마나 효율적으로 타구를 처리했는지를 측정합니다. 상대적인 수비 구역에서의 퍼포먼스를 나타냅니다.
  • Range Factor (RF)
    • Range Factor는 선수의 수비 범위와 기여도를 측정하는 지표입니다. 많은 타구를 처리한 선수는 높은 RF를 기록합니다.
    • 계산법: RF = (수비 기회 + 어시스트) / 경기수
  • 공격적 수비 (Assist)
    • 선수가 직접 타구를 처리한 후 아웃을 만들기 위해 공을 던진 횟수를 의미합니다. 이를 통해 수비수가 얼마나 활발히 공격적인 수비를 했는지 평가합니다.

프로야구에서 타격, 투수, 수비 지표는 각 선수가 경기에서 어떻게 기여하고 있는지를 평가하는 중요한 도구입니다. 타격에서는 출루율과 장타율을 통해 공격적인 능력을, 투수에서는 ERA, WHIP와 같은 지표로 투수의 효율성을, 수비에서는 필딩율과 DRS, UZR 등으로 수비 능력을 측정합니다.

 

<팀을 평가하는 데이터 분석 지표>

 

팀을 평가하는 데이터 분석은 선수 개별 성과뿐만 아니라, 팀 전체의 퍼포먼스를 종합적으로 평가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팀 성과를 분석하는 주요 지표는 공격, 수비, 투수 등 각 분야에서 종합적인 데이터를 활용하여 팀의 효율성과 경쟁력을 평가할 수 있습니다. 아래는 팀을 평가하는 주요 지표들과 해당 분석 방법입니다.

1. 공격 지표

  • 팀 타율 (Team Batting Average)
    • 팀 타율은 팀 전체의 타격 성과를 나타내며, 팀이 얼마나 자주 안타를 기록하는지 측정합니다.
    • 계산법: 팀 타율 = (전체 팀 안타수) / (전체 팀 타석)
  • 팀 출루율 (Team On-Base Percentage, OBP)
    • 팀 출루율은 팀이 얼마나 자주 출루하는지를 평가합니다. 타율뿐만 아니라 볼넷, 몸에 맞는 공 등도 포함되어 있기 때문에 팀의 공격적인 측면을 더욱 정확히 평가할 수 있습니다.
    • 계산법: 팀 OBP = (전체 팀 안타수 + 볼넷 + 몸에 맞는 공) / (전체 팀 타석 - 삼진)
  • 팀 장타율 (Team Slugging Percentage, SLG)
    • 팀의 장타율은 팀이 얼마나 강한 타격을 하는지를 보여줍니다. 장타율이 높을수록 팀이 많은 득점을 올릴 가능성이 큽니다.
    • 계산법: 팀 SLG = (1루타 + 2 * 2루타 + 3 * 3루타 + 4 * 홈런) / 팀 타수
  • 팀 온베이스플러스슬러기닝 (Team OPS)
    • OPS는 출루율과 장타율을 합산한 지표로, 팀의 공격적인 전반적인 능력을 평가합니다. OPS가 높을수록 팀은 더욱 공격적이고 효율적으로 경기를 운영하고 있다는 의미입니다.
    • 계산법: 팀 OPS = 팀 OBP + 팀 SLG
  • 팀 득점 (Team Runs Scored, RS)
    • 팀 득점은 경기에서 올린 총 득점 수입니다. 공격적인 능력의 총체적 평가 지표로 활용됩니다.
    • 예시: 팀이 총 100점 이상을 올렸다면, 평균적으로 공격이 잘 이루어졌다고 볼 수 있습니다.

2. 투수 지표

  • 팀 평균자책점 (Team Earned Run Average, ERA)
    • 팀 ERA는 팀 투수진이 9이닝 동안 평균적으로 허용한 자책점을 나타냅니다. 낮을수록 팀 투수진의 성과가 뛰어남을 의미합니다.
    • 계산법: 팀 ERA = (팀 자책점 * 9) / 팀 투구 이닝
  • 팀 WHIP (Walks + Hits per Inning Pitched)
    • 팀 WHIP는 팀 투수진이 한 이닝 동안 평균적으로 허용한 출루를 나타냅니다. 낮을수록 투수들이 상대 타자들에게 효과적으로 대응하고 있다는 뜻입니다.
    • 계산법: 팀 WHIP = (팀 볼넷 + 팀 피안타) / 팀 투구 이닝
  • 팀 삼진/볼넷 비율 (Strikeout-to-Walk Ratio, K/BB)
    • 이 지표는 팀 투수진이 얼마나 효율적으로 제구력을 유지하면서 삼진을 유도하는지를 평가합니다. K/BB 비율이 높을수록 투수진이 안정적이고 강력함을 나타냅니다.
    • 계산법: K/BB = (팀 삼진 수) / (팀 볼넷 수)
  • 팀 피안타율 (Team Batting Average Against, BAA)
    • 팀 피안타율은 투수들이 상대 타자에게 얼마나 자주 안타를 허용했는지를 평가합니다. 낮을수록 팀 투수진의 품질이 우수하다는 것을 나타냅니다.
    • 계산법: 팀 BAA = (팀 피안타) / (팀 피투구 타석)
  • 팀 퀄리티 스타트 (Team Quality Starts, QS)
    • 퀄리티 스타트는 투수가 6이닝 이상을 투구하고 3자책점 이하로 막았을 때 기록됩니다. 퀄리티 스타트가 많을수록 팀 투수진의 안정성을 나타냅니다.
  •  

3. 수비 지표

  • 팀 필딩율 (Team Fielding Percentage, FPCT)
    • 팀 필딩율은 팀 전체 수비가 얼마나 효율적이었는지 측정하는 지표로, 실책을 최소화하며 타구를 처리한 비율을 나타냅니다.
    • 계산법: 팀 FPCT = (총 처리한 기회 - 실책) / 총 처리한 기회
  • 팀 DRS (Defensive Runs Saved, DRS)
    • 팀 DRS는 수비 능력을 평가하는 지표로, 각 수비수가 얼마나 많은 득점을 방어했는지를 종합적으로 분석합니다. 팀 DRS가 높을수록, 상대 타자들에게 득점을 허용하지 않는 강한 수비를 보였다고 볼 수 있습니다.
  • 팀 UZR (Ultimate Zone Rating)
    • UZR은 수비가 발생한 각 영역에서 얼마나 효율적으로 타구를 처리했는지를 평가하는 지표로, 팀 수비력의 종합적인 효율성을 나타냅니다.
  • 팀 어시스트 (Team Assists, A)
    • 팀 어시스트는 수비수가 타구를 처리한 후 아웃을 만들기 위해 공을 던진 횟수를 측정합니다. 이는 수비에서의 적극성을 나타내는 지표로 활용됩니다.
  • 팀 Range Factor (Team RF)
    • 팀의 범위(Range Factor)는 수비가 얼마나 넓은 범위에서 타구를 처리했는지를 나타내며, 수비수들의 반응 속도와 범위가 얼마나 뛰어난지를 평가합니다.
    • 계산법: 팀 RF = (수비 기회 + 어시스트) / 경기수

4. 종합 팀 지표

  • 팀 WAR (Wins Above Replacement)
    • WAR는 선수 개별 성과를 종합하여, 팀 전체에 미친 영향을 평가하는 지표입니다. WAR 값이 높을수록 팀의 성과가 뛰어나며, 각 선수의 기여도를 통합적으로 평가합니다.
  • 팀 승률 (Team Win Percentage, WPCT)
    • 팀 승률은 팀이 얼마나 자주 승리했는지를 나타냅니다. 계산법은 **승률 = 승리 / (승리 + 패배)**입니다. 이 지표는 팀의 전체 성과를 반영합니다.
  • 팀 득실차 (Run Differential)
    • 득실차는 팀이 상대에게 얼마나 많은 득점을 허용했는지와 얼마나 많은 득점을 올렸는지를 나타냅니다. 득실차가 클수록, 팀은 경기에서 더 많은 점수를 올리고 상대에게 적은 점수를 허용한 것으로 평가됩니다.
    • 계산법: 득실차 = (팀 총 득점) - (팀 총 실점)

위에서 제시한 다양한 지표들을 종합적으로 분석하면, 팀의 공격력, 투수력, 수비력을 평가하는 데 유용한 통찰을 얻을 수 있습니다. 팀의 타격과 출루 능력, 장타율, OPS 등 공격적인 지표를 통해 팀의 공격 성향을 파악할 수 있으며, ERA, WHIP, 삼진/볼넷 비율 등을 통해 팀 투수진의 성과를 평가할 수 있습니다. 또한, 팀 수비 능력은 필딩율, DRS, UZR 등을 통해 분석하고, 종합적인 팀 성과는 WAR, 승률, 득실차 등을 통해 최종적으로 평가할 수 있습니다. 이 데이터들은 팀 전반의 전략과 경쟁력을 평가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머니볼 분석>

 

"머니볼(Moneyball)" 분석은 2000년대 초반에 오클랜드 애슬레틱스 팀의 빅 데이터 활용을 통해 구단 경영과 선수 평가 방식을 혁신한 접근 방식으로 유명합니다. 이 방법은 빌리 빈(Billy Beane) 오클랜드 애슬레틱스의 단장과 그의 데이터 분석 팀이 전통적인 스카우팅 방식에서 벗어나 객관적인 통계적 분석을 기반으로 선수들을 평가하고 팀을 구성한 방식입니다. 이 방법의 핵심은 선수들의 성과를 정량화된 데이터로 분석하여 비용 대비 가성비 좋은 선수를 선발하는 것입니다.

머니볼전통적인 스카우팅에서 놓칠 수 있는 중요한 데이터를 활용하여 구단의 예산을 효율적으로 관리하면서도 경쟁력 있는 팀을 만드는 방법을 제시했습니다. 머니볼은 주로 출루율(OBP) 과 **슬러기닝 퍼센티지(SLG)**와 같은 공격 지표를 활용하는데 집중했으며, 그 외에도 다양한 고급 통계 지표들이 포함됩니다.

1. 머니볼 분석의 핵심 요소

출루율(OBP, On-Base Percentage)

  • 전통적으로 타율(Batting Average)이 중요하게 여겨졌지만, 머니볼에서는 **출루율(OBP)**에 더 큰 비중을 두었습니다. 출루율은 선수의 타석에서 출루할 확률을 측정하는 지표로, 볼넷이나 몸에 맞는 공 등도 포함됩니다. 이 지표는 타율만으로는 계산되지 않는 선수가 타석에서 어떻게 상대 투수를 공략하는지에 대한 보다 정확한 정보를 제공합니다.
    • 계산법: OBP = (안타 + 볼넷 + 몸에 맞는 공) / (타석 - 삼진)

장타율(SLG, Slugging Percentage)

  • **장타율(SLG)**은 타자의 파워를 측정하는 지표로, 홈런, 2루타, 3루타 등 여러 종류의 장타를 고려하여 타자의 타격력을 평가합니다. 머니볼에서는 출루율과 함께 장타율이 중요한데, 타자가 출루한 후 추가적인 득점 기회를 제공할 수 있는 능력을 반영하는 지표이기 때문입니다.
    • 계산법: SLG = (1루타 + 2 * 2루타 + 3 * 3루타 + 4 * 홈런) / 타수

온베이스 플러스 슬러기닝 (OPS, On-Base Plus Slugging)

  • OPS는 출루율(OBP)과 장타율(SLG)을 합친 지표로, 타자의 종합적인 공격력을 평가하는 데 사용됩니다. 이는 타자가 얼마나 자주 출루하고, 출루할 때 얼마나 큰 기회를 만들어내는지 모두 반영하는 지표입니다.
    • 계산법: OPS = OBP + SLG
    • OPS가 높을수록 선수가 뛰어난 공격 성과를 낸다고 볼 수 있습니다.

유효 출루율 (wOBA, Weighted On-Base Average)

  • wOBA는 OBP와 SLG의 한계를 개선한 지표로, 타자별로 출루 방식(안타, 볼넷, 홈런 등)의 가치를 가중치를 두고 계산합니다. 이는 타자의 다양한 타격 방식에 따른 가치를 보다 정확하게 반영할 수 있는 지표입니다.
    • wOBA는 각 타격 결과의 상대적인 가치를 기반으로 계산되므로, 출루율과 장타율보다 타격 결과의 질을 더 세밀하게 평가할 수 있습니다.

2. 투수 평가의 데이터 분석

  • 머니볼은 공격적인 지표에 집중했지만, 투수 평가에도 고급 통계를 사용했습니다. 특히 투수의 "피안타율""WHIP(이닝당 출루 허용)", "FIP(Fielding Independent Pitching)" 등이 중요한 지표로 떠오르게 되었습니다.

피안타율 (BAA, Batting Average Against)

  • 투수의 피안타율은 투수가 상대 타자에게 얼마나 자주 안타를 허용하는지를 나타내며, 투수의 제구력과 피칭 능력을 평가하는 중요한 지표입니다.

WHIP (Walks + Hits per Inning Pitched)

  • WHIP는 투수의 한 이닝당 볼넷과 피안타가 얼마나 발생하는지를 나타냅니다. WHIP가 낮을수록 투수가 상대 타자들에게 더 적은 출루를 허용한다고 볼 수 있습니다.

FIP (Fielding Independent Pitching)

  • FIP는 투수의 실제 피칭 능력을 평가하는 지표로, 수비의 영향을 배제하고 오로지 투수의 삼진, 볼넷, 홈런을 기준으로 계산됩니다. 이는 투수의 **"운"**이나 수비의 영향을 배제하여 투수 본연의 성과를 평가할 수 있는 방법입니다.

3. 머니볼 분석의 특징과 활용

  • 비용 효율적 선수 영입: 머니볼 접근법의 핵심은 저렴한 비용으로 가성비 좋은 선수를 발굴하는 것입니다. 예를 들어, 상대적으로 비싼 대형 스타들이 아닌 저평가된 선수를 발굴하여 팀에 큰 기여를 하게 만드는 전략을 사용했습니다.
  • 데이터 기반 의사결정: 팀 구성과 선발, 교체 결정은 통계적 데이터를 바탕으로 이루어졌습니다. 빅 데이터와 고급 통계 지표들을 통해 선수를 평가하고, 예상되는 성과를 최대화하는 전략을 사용했습니다.
  • 전통적인 스카우팅의 보완: 머니볼은 전통적인 스카우팅 방식이 놓칠 수 있는 수치적인 데이터를 보완하여 평가의 정확도를 높였습니다. 예를 들어, 과거에는 많은 홈런을 기록한 선수가 좋은 타자라고 여겨졌지만, 출루율이나 장타율을 중시함으로써 효율적인 선수를 발굴할 수 있었습니다.

머니볼은 전통적인 야구 분석 방법을 데이터 기반 접근으로 혁신하며, 팀 운영의 효율성을 극대화한 사례로 유명합니다. 오클랜드 애슬레틱스는 적은 예산으로도 높은 성과를 낼 수 있었으며, 이 접근법은 다른 팀들에도 영향을 미쳤습니다. 현재 많은 메이저리그 팀들이 머니볼 기법을 활용하고 있으며, 고급 통계빅 데이터를 활용한 선수 평가 방법은 현대 야구에서 표준이 되었습니다.

 

<새로운 데이터 분석 방법>

 

최신 MLB에서의 데이터 분석 방법은 머니볼(Moneyball) 기법을 기반으로 발전해왔습니다. 기술과 데이터의 발전으로, **'Advanced Analytics'**와 **'Sabermetrics'**라는 새로운 통계적 접근법이 등장하여, 선수 평가 및 팀 운영의 효율성을 크게 개선하고 있습니다. 최신 MLB의 데이터 분석은 더 다양한 고급 통계 지표와 하드웨어 기술을 결합하여, 경기를 보다 깊이 있게 분석합니다. 여기에는 트랙맨(TrackMan), Rapsodo와 같은 고급 추적 기술을 통해 투구와 타격을 세밀하게 분석하고, Statcast 시스템을 활용하여 선수를 평가하는 방식이 포함됩니다.

최신 MLB 데이터 분석 방법

1. Statcast 시스템

  • Statcast는 MLB에서 사용되는 고급 데이터 분석 시스템으로, 경기 중 모든 주요 이벤트를 실시간으로 추적하고 데이터를 분석합니다. Statcast스포츠 과학고속 카메라를 사용하여 투구, 타격, 수비 등을 추적하며, 이를 바탕으로 고급 지표를 생성합니다.
    • 투구 분석: Statcast는 투구의 구속(velocity), 회전수(spin rate), 회전각(spin axis), 움직임(movement)을 측정하여 투수의 실력을 평가합니다. 이를 통해 투수가 던지는 구종의 특성과 상대 타자에 대한 우위나 약점을 파악할 수 있습니다.
    • 타격 분석: 타자의 타구 속도(batted ball velocity), 타구 각도(launch angle), 타구 방향 등 여러 요소를 실시간으로 측정합니다. 이를 통해 타자의 장타력타구 품질을 더 정교하게 분석합니다.
    • 수비 분석: Statcast는 수비 범위(range), 이동 속도(speed), 타구의 반응 시간 등을 측정하여 수비수를 평가하는 데 사용됩니다.

2. 고급 통계 지표 (Advanced Metrics)

  • MLB에서는 전통적인 통계 외에도 더 정교하고 심층적인 분석을 위해 다양한 고급 통계 지표가 활용됩니다. 최신 MLB 데이터 분석에서는 타격, 투수, 수비, 주루에 대한 전반적인 평가를 제공합니다.타격 지표
    • wOBA (Weighted On-Base Average): wOBA출루율(OBP)보다 더 정밀하게 타자의 타격 성과를 평가합니다. 각 타격 결과(안타, 홈런, 볼넷 등)에 대해 가중치를 부여하여 타자의 전체 공격력을 보다 정확하게 평가합니다.
      • 예시: 홈런, 2루타, 볼넷 등이 각기 다른 중요도를 갖고 있으며, 이를 타격 상황에 따라 가중치를 부여해 타자의 전체 공격 능력을 평가합니다.
    • xwOBA (Expected Weighted On-Base Average): xwOBA는 실제 성과와 예측된 성과의 차이를 분석하여, 타자의 타구 품질을 평가합니다. 예를 들어, 타자가 멀리 날린 타구가 실제로 안타로 이어지지 않았다면, 이는 불운을 의미할 수 있습니다.
    • Barrel Rate: Barrel은 타자가 가장 이상적인 각도와 속도로 타구를 날렸을 때의 결과를 의미합니다. Barrel Rate는 타자가 이상적인 타격을 얼마나 자주 했는지를 나타내며, 타구 속도와 각도에 기반하여 타자의 장타 능력을 평가합니다.
    투수 지표
    • xFIP (Expected Fielding Independent Pitching): xFIP는 **투수의 방어율(ERA)**을 수비의 영향을 배제하고 계산하는 지표로, 홈런 허용(HR)과 볼넷(BB) 등의 요소를 고려하여, 투수가 실제로 어떤 성과를 냈는지 파악합니다.
    • K% (Strikeout Percentage): **삼진율(K%)**은 투수가 얼마나 자주 타자를 삼진으로 처리하는지의 비율을 나타냅니다. **K%**가 높을수록, 투수는 타자를 압도하는 능력이 뛰어나다고 볼 수 있습니다.
    • Spin Rate (회전수): 투구의 회전수는 투수가 얼마나 강한 회전을 주고 있는지를 나타내며, 이는 특히 커브볼이나 슬라이더와 같은 변화구의 효과를 예측하는 데 중요한 지표입니다. 회전수가 높을수록 구질의 움직임이 강해집니다.
    • Launch Angle (타구 각도): 타구 각도는 타자가 공을 치고 날아가는 각도를 나타내며, 출루율(OBP)과 함께 타자의 장타력을 평가하는 중요한 요소입니다. 높은 Launch Angle은 장타를 의미하며, 타자의 타격 스타일을 분석하는 데 유용합니다.
    수비 지표
    • Defensive Runs Saved (DRS): DRS는 수비수가 얼마나 많은 득점을 방어했는지를 나타내는 지표로, 각 수비수가 얼마나 잘 타구를 처리했는지를 측정합니다.
    • UZR (Ultimate Zone Rating): UZR은 수비가 발생한 구역에서 얼마나 잘 수비를 했는지 측정하는 지표입니다. 이는 수비 범위타구의 품질을 고려하여 평가합니다.
    • Outs Above Average (OAA): OAA는 각 수비수가 얼마나 추가적으로 아웃을 기록했는지 측정하는 지표입니다. 이는 특정 수비수의 수비 능력상대적으로 비교하는 데 유용합니다.

3. 고급 추적 기술과 분석 도구

  • TrackManRapsodo피칭타격을 실시간으로 추적하고, 피치의 회전수, 타구의 속도 등을 정확히 분석하는 데 사용됩니다. 이러한 기술은 타자와 투수의 기술을 평가하는 데 정밀도를 높여줍니다.
  • Pitch Tracking Systems: 이러한 시스템들은 투수의 구종, 구속, 회전수 등을 추적하여, 투수의 성과를 세밀하게 분석합니다. 또한, 각 투수가 어떤 구종을 언제 던지는지 분석하여, 상대 타자에 대한 전략을 개선하는 데 도움을 줍니다.

4. 팀의 전략적 분석

  • 팀별 공격성과 수비 성과를 정량화한 데이터를 통해 팀의 전략을 세울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홈런을 많이 치는 팀과 출루율을 중요하게 생각하는 팀을 비교하여, 어떤 스타일이 더 성공적인지를 분석할 수 있습니다.
  • 피지컬 훈련이나 분석 도구를 활용하여, 선수의 회전력, 타구 각도, 몸의 움직임 등을 최적화할 수 있는 방법을 연구하고, 이를 통해 선수 성과를 극대화하는 전략을 세웁니다.

MLB에서의 최신 데이터 분석 방법은 Statcast와 같은 고급 추적 시스템과 고급 통계 지표를 활용하여 정밀하고 종합적인 선수 평가를 가능하게 합니다. 선수의 타격, 투수, 수비를 다양한 고급 지표와 기술로 평가하는 이 방법들은 단순히 전통적인 스카우팅을 뛰어넘어, 과학적이고 데이터 기반으로 전략을 수립하는 중요한 도구로 자리잡고 있습니다. 이를 통해 팀은 효율적인 선수 영입경기 운영 전략을 개선하여 경쟁력을 높이고 있습니다.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