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월호 침몰 사고 뒤로 전남 진도 팽목항과 진도실내체육관을 오가면서 자원봉사를 하고 있는 대한약사회 이승용 약사. 진도/김명진 기자 littleprince@hani.co.kr |
[이명수의 충분한 사람]
세월호 기억저장소를 만들 계획이라는 기록전문가 김익한은 자신의 인터뷰를 읽으며 이 일이 ‘사랑의 기억’을 오래 간직하게 하는 것이란 사실을 다시 깨달았다고 했다. ‘사랑의 기억’만이 왜곡된 구조를 바꿔가는 진득한 힘인 동시에 실낱같은 희망의 끈을 놓지 않게 하는 힘이라고 덧붙였다. ‘기록’이라는 객관적 명제 앞에 얼핏 낭만적으로 들릴 수도 있는 ‘사랑의 기억’이란 단어를 왜 썼는지 나는 금세 이해했다. 모를 리 없다.나는 전장의 병사와 연락하고 있었구나김익한 교수가 연결해준 자원봉사자 이승용은 그런 ‘사랑의 기억’에 속한 사람 중 하나일 것이다. 약사인 이승용은 세월호가 침몰한 직후부터 지금까지 전남 진도체육관과 팽목항을 오가며 자원봉사를 하고 있다. 왜 그곳에 계속 머물고 있는지, 그의 기억 속에 저장된 세월호 현장은 어떤 것인지 듣고 싶었다. 하지만 인터뷰는 쉽지 않았다. 군데군데 훼손된 통신선으로 연락하는 느낌이었다. 그의 답신 문자는 짧고 느렸다. 12시간 만에 답이 오기도 하고 그나마 마지못한 듯 명료하지 않았다. 인터뷰를 꺼리나, 무례한 사람인가, 그런 우려와 의구심을 안고 진도로 내려갔다. 팽목항에 있다가 시간에 맞춰 약속 장소인 진도체육관으로 가는데 스리쿠션으로 겨우 연락이 닿은 그가 팽목항에 있으니 다시 그리로 오라고 했다. 미리 약속한 시간과 장소가 있었나, 하는 투였다. 중간 지점에 차를 세워놓고 잠시 망설였다. 인터뷰를 해야 하나, 말아야 하나. 우여곡절 끝에 만났을 때 나는 그에게 불친절한 연락에 대해 먼저 물었다. 그는 내가 왜 그러는지 모르겠다는 얼굴이었다. 인터뷰가 시작되고 나서야 나는 그 이유를 알았다. 무슨 말끝에 그는 세월호 현장에 있는 사람들은 시간감각, 날짜감각 이런 걸 잊게 된다고 했다. 이곳에 오래 있었던 사람들은 대개 그렇다는 것이다. 현장에 있다보면 전화를 잘 못 받는 것은 물론이고 전화를 놓고 다니는 경우도 많다고 했다. 다급하고 압도적인 현장에 있다보면 그 외의 모든 상황에 무뎌질 가능성이 높다. 트라우마에 노출된 사람의 시간감각이 이전과 확연히 달라지는 것도 비슷한 이유다. 와이키키 해변에 누워 시베리아 눈보라 속에 있는 이와 통화하면 얘기 자체에 온도차가 있을 것이다. 후방에서 총알이 빗발치는 전장의 병사와 연락하고 있었다는 사실을 내가 깜빡하고 있었구나, 깨달았다.늦은 밤, 불빛도 없는 팽목항 방파제의 한구석에 앉아 그의 얘기를 들었다. 너무 어두워서 말하는 표정을 자세히 볼 수도 없었다. 혹시 실종자 가족들에게 누가 될까봐 그가 택한 장소였다. 노트북도 메모지도 볼펜도 없이 나는 종군기자가 된 심정으로 세월호 트라우마가 덮친 참혹한 전장의 한가운데에 버티고 있는 자원봉사자 이승용의 말을 꾹꾹 눌러담듯 들었다.-4월18일이면 세월호가 침몰하고 이틀 뒤예요. 그때 여기(팽목항) 왔다는 거죠.=네, 금요일에 왔어요. 대한약사회에서 부스를 차려놨는데 약도 없고 약사도 없다는 거예요. 그래서 필요한 약이 뭐 있을까 생각하다가, 제가 가까운 동네에서 아내와 약국을 하고 있는데 거기에서 몇 가지 약들을 챙겼죠. 청심환이 안정제잖아요. 그걸 드려야겠다고 생각해서 엄청 싸들고 갔죠. 실제 청심환을 많이 찾으셨고요. 피로회복제와 쌍화탕도 좀 있었는데 금방 동이 났죠. 처음엔 드릴 수 있는 게 그것밖에 없었어요. 근데 다가가는 것도 조심스럽더라고요. 여기 팽목항과 체육관은 1분 1초 상황이 바뀌면서 어떤 일이 터지면 기자들이 확 따라가기도 하고 그때마다 울부짖음이 들리고 쫓아가서 뭔가 도움을 드리고 싶은데 구경하는 것 같기도 해서 주춤거리고. 며칠 있다보니 약도 약이지만 내가 같이 있어줘야겠다, 그런 생각이 들더라고요.“그럼 정부하고 똑같잖아요”-약사 자원봉사자로서 주로 어떤 일을 하셨어요.=24시간 운영되는 약국 부스가 여기 2곳, 체육관에 2곳 해서 모두 4곳이 있었죠. 지금은 2곳이에요. 초기에 제가 주로 한 일은 약 구하러 다니는 것이었어요. 가족들이 A라는 약을 찾는데 그게 공급이 잘 안 되니까 교대하는 약사님이 오시면 저는 약을 구하러 갔죠. 약사들이 한번 오면 12시간씩 근무하고 가는데, 약국 4곳을 24시간 운영하려면 자원봉사자가 많이 필요해요. 약 공급이 어느 정도 된 뒤에는 약사를 수급하는 일이 과제였어요. 제가 여기서 집이 가까우니까 그런 일들을 맡게 됐어요. 여기 현장의 약국은 일반 약국과는 달라요. 어느 날 새벽 1시에 한 어머님이 안대와 귀마개를 달라고 하시더라고요. 체육관엔 24시간 불을 켜놓고 있으니까 필요하셨던 거죠. 근데 저희에겐 그게 없죠. 그래서 제가 체육관 근처에 있는 편의점을 6∼7곳인가 돌았는데 없는 거예요. 어떡해요. 2시간 걸려 해남까지 가서 사다 드렸어요.-그게 약사가 할 일은 아니잖아요.=그럼 정부와 똑같잖아요. 우리 가족들과 자원봉사자들이 정부에 분노한 게 그거잖아요. 얘기하면 다 들어준다고 약속했어요. 근데 확인해보면 하나도 안 돼 있어요. 아무것도 안 했어요. 약도 똑같아요. 조금만 신경 쓰면 되는데, 한 번 갔다오면 되는데 그걸 안 해주면 어떡해요. 그런 일 없게 하려고 우리가 자원봉사 하러 왔는데, 정부가 못하는 일을 해주려고 왔는데 똑같은 짓을 하면 안 되잖아요. 그렇잖아요.표정은 보이지 않았지만 힐난과 분노가 가득한 목소리가 어둠을 뚫고 꽂히듯 날아왔다. 내친김에 더 물었다.-자원봉사가 뭐라고 생각하나요.=저는 자원봉사를 해본 경험이 별로 없어요. 이번에 여기 와서 확실하게 알았어요. 정부가 하는 일이 있고 자원봉사자가 하는 일이 있는데, 자원봉사자들은 정부가 못하는 부분을 해야 되는 거 같아요. 공무원들은 기본적으로 실적내기예요. 우리 일 많이 했다, 이런 거요. 안 된 것, 못한 것에 대해서는 절대 기록 안 해요. 한 것만 기록하고, 했다고 기록하고, 할 것 같다고 기록해요. 자원봉사자는 잘 되는 건 놔두고 안 되는 걸 빨리 찾아서 하는 사람이에요. 우리는 어디에 소속돼 있지 않으니까 과감하게 문제 제기를 할 수 있죠. 초기에 바지선에서 일하는 민간 잠수부들에 대한 대우가 형편없었어요. 잠자리도 그렇고 식사도 그렇고요. 열 몇 명이 계속 거기서만 있고 사육당하듯 풀뿌리만 먹고 있는 거예요. 피해자 가족들이 거기 가서 김치찌개를 끓여주기까지 했어요. 문제제기를 해도 시정되지 않아서 계속 시끄럽게 했죠. 그랬더니 그다음부터 밥이 좋게 들어갔어요. 잘못된 정보를 제대로 알리는 것도 자원봉사자의 중요한 일이라고 생각해요. 사실이 아닌 얘기들이 있잖아요. 잘못된 기사들, 그런 걸 세세하게 기억했다가 기록하는 분들에게 얘기해서 바르게 기록되게 하는 일도 중요하다고 생각해요.자원봉사학 개론에 나오는 얘기는 아니지만 그가 규정하는 자원봉사의 개념이 명확하고도 인간 지향적이라서 기꺼이 수용했다.“애기들 이름 부를 때 예감했죠”-여기 있는 자원봉사자들이 다 같은 마음이지는 않을 거잖아요.=그렇죠. 약사 자원봉사일 경우 한번 오면 12시간씩 근무하는데, 저는 그분들이 약국에만 있게 하지 않고 밖으로 빼줘요. 이게 말이 좀 이상한데 충분히 느끼게끔 해줘요. 청소부터 시작해서 다른 일들을 많이 시키죠. 충분히 느끼고 가라, 약만 주려고 오는 게 아니지 않느냐. 그렇게 소통하신 분들은 다음에 휴가를 내서 몇 번 더 오죠. 그렇게 하지 않으면 전체 상황을 잘 몰라서 마음이 실리지 않죠. 예를 들어 비가 많이 올 때는 구조 작업이 하나도 안 되잖아요. 그러면 약을 찾는 수요도 없어요. 밤엔 더 그렇죠. 그러니까 밤근무를 하셨던 약사들은 찾는 손님이 하나도 없는데 이걸 왜 하는지 의아해해요. 나중에 비난하기도 해요. 그런데 정조 시간이 새벽에도 있잖아요. ‘애기’들은 정조 시간 전후로 올라와요. 그때 정말 약이 필요한데 낮에만 약국을 하면 이걸 안 한 거나 똑같죠. 그런 설명을 잘 해야죠.세월호 침몰 사고 뒤로 전남 진도 팽목항과 진도실내체육관을 오가면서 자원봉사를 하고 있는 대한약사회 이승용 약사. 진도/김명진 기자 littleprince@hani.co.kr |